채굴기 조립하기
hive os도 마련했고,
부품도 다 마련했으면 이제 HW 적인 조립을 시작해 봅니다.
큰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보드에 CPU, Memory 설치합니다.
2. 케이스에 보드를 설치합니다.
3. 케이스에 파워를 설치합니다.
4. 파워케이블을 보드에 연결합니다.
5. 케이스에 GPU 거치대를 마저 조립합니다.
6. GPU를 박스에서 꺼냅니다.
7. 라이저카드를 조립합니다.
8. GPU와 라이저 카드를 조립해 둡니다.(모두)
9. GPU를 케이스에 설치합니다.
10. GPU 1개만 라이저카드로 보드에 연결 한 뒤 모니터를 연결해서 부팅 합니다.
11. Bios 에 들어가서 채굴을 위한 setup을 합니다.
12. Hive OS USB를 메인보드의 USB에 연결 한 뒤, 부팅합니다.
13. Hive OS 가 부팅 중에 Rig ID/ Password를 입력한 뒤 GPU 1개가 잘 잡히는지 확인합니다.
14. 끄고 나서 GPU 한개 더 연결합니다. 그리고 부팅해서 GPU가 연결한 갯수만큰 잡히는지 확인합니다.
15. GPU를 하나씩 추가하면서 제대로 잡히는지 확인합니다. 14번을 계속 반복
자 해볼까요?
1. 보드를 준비합니다.
2. CPU를 설치합니다.
레버를 올리고, CPU의 핀이 있는 면에 있는 표시를 잘 보면서 보드에 살짝 올려둡니다. 이제 저 레버를 내리면 단단하게 설치됩니다. 그리고 기본 쿨러도 설치해 줍니다. 쿨러의 전원도 연결해 줍니다.(빨간색 사각형)
3. Memory 를 연결합니다. Memory는 가장 가장자리아 아닌 2번째 자리부터 넣어 주시면 됩니다. (빨간색 사각형)
보시면 이렇게 안내가 있습니다. 매우 작아서 보기 어렵긴 하죠.
3. 전원 선을 연결합니다. 이 전원선은 PC는 켜는 용도입니다. 그런데 이부품은 Bios에서 셋업하고 나서는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없더라도 드라이버로 두개 핀을 살짝 연결해주는 것으로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배송비를 들여서 살 필요는 없지만, 있으면 좀 더 편하긴 합니다.
핀(pin)은 보드 안쪽의 두개에 덮어서 끼워주면 됩니다. 아래 그림으로 설명 드릴게요.
흰 원이 핀입니다.
위쪽이 보드의 바깥쪽이고요. 테두리는 흰색인데 가운데가 검은 원(가장 왼쪽 하단)이 핀이 없는 곳입니다.
빨간색 사각형 핀에 전원 버튼의 케이블을 끼우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를 드라이버로 두개를 연결해 주면, 그게 전원 버튼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보드에 전원이 들어가게 됩니다.
4. 이제 케이스 하단 부에 파워 서플라이와 메인 보드를 설치합니다. 어느것을 먼저 해도 크게 문제 없습니다.
저는 파워를 먼저 했습니다. 그 위에 gpu 거치대를 조립했는데요. 이건 나중에 하는게 좋습니다. 메인 보드 연결하는데 힘들어서 다시 풀었습니다.
이 채굴기는 파워를 두개를 사용했습니다. 700w 짜리 두개입니다. 이 두개가 1000w 보다 싸서 했습니다. 합친 용량도 1400이니 더 크네요.
5. 파워 서플라이의 케이블을 메인보드, cpu, 따블로 등에 연결해 줍니다.
우선 따블로를 연결해 줍니다. 따블로는 판매 몰에서 잘 설명해 주고 있어서 그거대로 하시면 됩니다.
한글로도 잘 씌여 있네요. 메인 파워, 보조파워, Auto 로 두시면 됩니다.
이제 두개의 파워 서플라이가 한몸이 되었어요.
메인보드에 메인파워서플라이의 케이블을 연결해 줍니다.
CPU 파워도 연결해 줍니다.
빨간색의 8핀만 해줍니다. 파란색의 4핀은 연결하지 않습니다.
파란색의 4핀은 CPU의 추가 전원인데, CPU를 overclock 할때 필요한 전원입니다.
우선 채굴기는 CPU OC(OverClock)을 하지 않아서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데 2개의 파워인 경우 저 4핀이 없어서 보조파워서플라이에서 가져와서 연결하는데, 그러면 따블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1 파워 서플라이인 경우엔 저 4핀이 있는 경우 해도 됩니다만, 크게 필요 없습니다.
6. GPU와 라이저 카드를 준비 합니다.
조심스레 꺼내봅니다. 참으로 비싼 아이입니다. ㅎㅎㅎㅎ 구하기도 쉽지 않고...가격도 싯가인....
라이저 카드를 조립해 둡니다. 파란색이 USB 이고 그 끝에 슬롯에 끼울수 있는 조그만한 보드가 있습니다. 다른 케이블이 라이저 카드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케이블입니다. 라이저카드 연결 부위에 딸깍 소리가 나도록 꽉 끼워둡니다.
제가 이거 잘 안했다가 채굴기 이동할때 마다 빠져서 고생했습니다.
준비가 완료되었으니, GPU를 연결합니다.
잘 끼운후, 저 하얀색 걸쇠가 안으로 들어가서 gpu가 잘 빠지지 않도록 해줍니다.
이제 gpu가 라이저 카드와 잘 연결되서 전원 공급이 잘 되는지 확인해 봅니다.
라이저 카드에도 SATA로 전원을,
GPU에도 8핀 케이블로 전원을
그리고 라이저카드 작은 보드 를 메인보드 슬롯에 연결하고 메인보드에 전원을 넣어 봅니다.
이얏호!~
케이스를 마저 조립하고, 나머지 GPU도 모두 라이저카드와 연결 조립해 둡니다.
Nvidia는 열이 많이 나서 위와 같이 8way로 하는건 비추합니다. Amd 라데온은 괜찮은데, nvidia는 이렇게 하니 열이 훅 오르네요. 6way로 하시길...
7. 1개의 gpu와 메인 보드를 연결한 뒤 모니터,키보드 연결해서 부팅하고 bios로 들어갑니다.
부팅하면서 del키를 누르면 bios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이 모드에서 F7을 눌러 Advanced로 들어갑니다.
요렇게요.
우선 메인보드에 전원이 들어오면 자동으로 부팅이 되도록 설정해 줍니다. 그러고 나면 똑딱 전원 버튼이 없어도 됩니다.
또한 gpu가 뻗었거나 했을때, AI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전원을 off - on 해주면 리붓이 되면서 자동으로 부팅이 되게 할 수 있습니다. ;)
위에서 아래 순서대로 메뉴를 진입 후 Restore after AC Power Loss 를 Power On으로 변경해 줍니다.
다음은 내장 그래픽 카드를 off 하겠습니다.
advanced를 통해 진입합니다. 마지막 화면에서처럼 PEG 를 선택하고 그 아래는 Disabled를 선택합니다.
CMS 모드를 off 합니다. UEFI로 바꿔줍니다.
다음은 PCIe 슬롯의 속도등을 셋업합니다.
Gen Switch를 Gen1으로
Above 4G memory/Crypto Currency mining은 enabled로 바꿔줍니다.
자 이제 저장을 하고 HiveOS가 있는 USB를 연결 한뒤 부팅을 합니다. 아까 gpu 1개는 해봤으니, 2개 연결해 봅니다.
오 2개 잡네요..잘 인식 됩니다.이제 하나씩 추가하면서 off - on 해서 인식되는지 확인 합니다.
욕심내서 한번에 다 꼽아도 됩니다. 그런데 꼬이는 경우가 있어서, 그냥 차분히 하나씩 해봅니다.
3개까지 되면 이제 분배기를 꼽아서 그 4개를 분배기에 연결해 봅니다.
잘 되면, 나머지 gpu도 모두 연결해서 확인해 봅니다.
유후....이제 다 왔습니다.
참고로 이 메인보드에 10개 gpu까지 연결해 봤습니다.
10개까지 연결해서 (분배기를 2개 써야 합니다.) 채굴 할수 있습니다.
다만 이때 채굴시 전력 소모량을 잘 계산하셔야 합니다. 부족하면 그냥 꺼집니다.
위의 사진 3060에 700 + 700 파워는 10개 하면 전원이 부족했습니다만,
AMD 라데온 RX6600은 1000 파워 1개로 10개 연결해서 채굴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조립은 마무리 하겠습니다.
이제 hive os에서 채굴 할수 있게 셋업하는게 남았네요